* 해당 교재는 2017년 출판된 것으로 현재 리눅스 버전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리눅스 인터넷 응용프로그램 (p.222~227)
1. 리눅스에서 파이어폭스 사용하기

리눅스에서는 다양한 웹브라우저를 지원한다. 그 중 ‘파이어폭스(Firefox)’는 리눅스의 기본 웹브라우저로, 한글화되어 있어 패키지 설치시 한글 로케일 파일을 설치하면 한글 환경에서 인터넷 서핑이 가능하다.
한글 인코딩 설정
리눅스 파이어폭스에서 특정 사이트를 접속하면 한글이 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는 문자 인코딩이 맞지 않아 발생하는 현상이므로, 해당 웹페이지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문자 인코딩에 맞게 웹브라우저 환경을 맞춰야 한다.
파이어폭스의 [보기 메뉴 → 문자 인코딩]을 선택하여 [자동선택] 옵션에서 [한국어]로 선택하면 된다.
플러그인 설치 및 관리
플래시 플러그인 설치
시냅틱에서 flash를 키워드로 검색하여 ‘flash-player-pluhin’ 패키지를 설치한다. 플러그인을 설치한 후 파이어폭스의 [도구메뉴 → 부가 기능 → 플로그인]에서 ‘Shockwave Flash’ 플러그인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동영상 플러그인 설치
웹브라우저에서 동영상을 볼 수 있도록 동영상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한다. 시냅틱에서 ‘mozplugger’ 패키지를 설치하고 설치 후 앞서 플래시 플러그인 설치 확인에서 살펴본 것처럼 플러그인 항목에서 해당 플로그인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여러 개의 동영상 플러그인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변경할 플러그인을 [사용함] 클릭해 적용한다.
2. 파일질라(Filezila) FTP 클라이언트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FTP 서버에 접속해 서버에 있는 데이터를 내 컴퓨터로 다운로드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 리눅스 소스를 다운로드 한다거나 홈페이지 서버에 HTML 파일을 올릴 때 많이 사용하는 네트워크용 프로그램이다.
파일질라는 한글 로케일을 지원하여 한글 환경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4GB 이상의 대용량 파일 전송을 지원한다.
- FTP 서버 접속
- 호스트에 서버 주소를 도메인명 또는 아이피주소로 입력
- 사용자명과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빠른 연결] 버튼 클릭
- 접속 로그창 아래의 프레임창에선 로컬 컴퓨터의 파일목록, 그 아래 프레임창은 원격 FTP 서버의 파일 목록 - 파일 다운로드
- FTP 서버의 목록 창에 있는 파일을 로컬 컴퓨터의 프레임창으로 드래그 - 파일 업로드
- 로컬 컴퓨터의 파일을 FTP 서버로 드래그
3. 큐비토렌트 - 토렌트 프로그램
자료 공유 프로그램인 토렌트 프로그램은 리눅스 배포판을 배포할 때 FTP 서버보다 많이 사용된다. 토렌트를 사용해 자료를 공유하면 FTP보다 속도가 빠르고 서버측에서도 네트워크 대역폭을 아낄 수 있다.
그러나 씨더(seeder)가 완전하지 않으면 데이터를 완전히 받을 수 없을 뿐더러 공유 속도를 낮게 하면 오히려 FTP 서버 속도보다 느릴 수 있다.
큐비토렌트는 QT개발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개발되었으며, 검색엔진을 제공하여 한글로 원하는 형태의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4. 이메일 프로그램(썬더버드)와 메신저 프로그램(네이트온)
이메일 프로그램인 모질라 썬더버드는 고성능의 스팸 필터링 및 고급 메시지 필터링 기능과 철자 검사 기능, HTML 메일 완벽 지원 등 다양한 기능과 고급 수준의 보안을 지원한다.
모질라 썬더버드의 실행은 [시작메뉴 → 인터넷 → 모질라 썬더버드]를 선택하거나 명령창에 ‘mozilla-thunderbird’ 명령을 입력하여 실행한다.
메신저 프로그램인 네이트온은 [시작메뉴 → 인터넷 → 네이트온]을 선택하여 실행하거나, 명령창에 ‘nateon’을 입력하여 실행한다.
리눅스 오피스 응용 프로그램 (p.228~230)
1. 리브레오피스(LibreOffice)

데스크탑 운영체제는 오피스 프로그램을 완벽하게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MS오피스를 사용하는 것처럼 리눅스에서는 MS오피스와 호환을 이루는 ‘리브레오피스’를 사용한다.
리브레오피스는 오픈오피스를 만든 개발자들이 상당한 제약이 있는 오라클에서 나와 더 자유로운 자유 소프트웨어로 개발하기 위해서 만든 자유의 의미가 강한 오피스이다.
- 리브레오피스 Writer
MS의 doc 파일을 지원하는 워드 작성 프로그램으로, 기본 문서 확장자는 odt이며 스타 오피스의 sdw 파일, 텍스트 txt 파일, html 파일 등을 지원한다. 리브레오피스에서 작성한 문서를 PDF 문서로도 변환 가능하다. - 리브레오피스 스프레드시트
MS의 엑셀과 같은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으로 엑셀, StarCalc, dBase와 호환성을 제공한다. - 리브레오피스 임프레스
MS의 파워보인트에 해당되는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ppt 문서는 PDF, HTML, SWF, 슬라이드 등으로 보낼 수 있으며, MS의 PPT 파일로 저장할 수도 있다 - 리브레오피스 드로우
차트 그리기, 3D이미지 생성, PDF 문서 작성 등 여러 기능을 지원하는 그리기 프로그램이다. 작성한 문서는 PDF 파일로 보낼 수 있으며 HTML이나 플래시 파일, 그래픽 이미지 파일로도 변환 가능하다.
2. PDF 뷰어(오큘러)와 PDF 에디터(마스터PDF에디터3)
리눅스에서 PDF 문서 파일을 보기 위해선 리눅스용 어도비 리더를 설치해 사용할 수도 있지만, KDE4 환경에서 지원하는 오큘러가 존재한다. 오큘러는 KPDF를 기반으로 개발된 PDF 뷰어 프로그램이다.
또한 리눅스에서는 PDF 파일 편집기로 마스터PDF에디터를 지원한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PDF 문서에서 잘못된 부분을 수정할 수 있다. 단, 한글 입력이 안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스터디 > 리눅스(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스터디] 리눅스(Linux) 그대로 따라하기 - 리눅스 쉘(Shell) 이해와 다루기 (0) | 2025.04.10 |
---|